유태인들은 죽은 사람에게는 반드시 경의를 표하여야 하고, 그리고 죽은 사람은 항상 지켜지지 않으면 안된다고 믿고 있다. 사람이 죽으면 먼저 죽은 이의 몸을 깨끗이 한다. 그 일은 그 지역사회에서 가장 교양이 있고 많은 사람들로부터 존경받고 있는 사람이 맡아 한다. 이러한 일은 유태인 사회에서 매우 영예로운 일로 생각하고 있다.
그리고 사람이 죽으면 가능한한 빠른 시간 안에 매장하는데 화장이 아니라 매장한다. 원칙적으로는 죽은 다음날에 매장하는게 관례이다.
죽은 사람을 알고 있는 사람이라면 장례식에 반드시 참석해야 한다. 참석한 사람 중에서, 이를테면, 랍비가 추도사를 읽고 상주가 기도문을 읽는다.이들은 같은 예배당에서 같은 내용의 기도를 1년동안 매일 반복한다.
일단 매장이 끝나면 가족은 집으로 돌아온 뒤 일주일간 같은 일을 반복한다. 1개의 촛불을 켜놓고 10명의 친지가 마루에 모여 앉아 기도문을 외우는데. 이때는 집안의 있는 거울을 모두 덮어야한다.
그리고 상주는 일주일 동안 집밖의 출입을 삼가한다. 예배당에 가는 일도 이 일주일이 지나야 가기 시작한다. 상주가 집에 있는 일주일 동안에 그 가족을 알고 있는 사람들은 조문을 하게 된다. 이러한 일주일의 의식이 끝나면 상주 가족은 집밖에 나와 자기 집 둘레를 한 바퀴 돌게 된다.
죽은 뒤 한달 동안에는 얼굴을 씻어서는 안된다. 그리고 죽은 뒤 1년 동안에는 화려하고 즐거움이 넘치는 장소에는 출입하지 않는다. 그후 해마다 죽은 사람의 기일이 되면 반드시 상복을 입어야 한다.
가족들이 장례식을 마치고 돌아오면 달걀을 먹는다. 죽은 사람에 대한 유태인들의 사고 방식은 사람은 누구나 가족이 죽으면 슬퍼한다고 여긴다. 그리고 일주일간 추모하고 집밖을 나간다는 것은 그 이상 슬픔에 잠겨 있어서는 안된다는 생각에서이다. 이것은 사람이 슬픔을 너무 오래 간직하고 있는 것은 불건강한 것이라고 여기기 때문이다. 일주일 뒤 집밖에 나가 집 둘레를 한바퀴 도는 것은 이 때문이다.
이렇게 달걀을 먹고 집의 둘레를 한바퀴 도는 것은, 둥근 원이 끝도 시작도 없는 거와 같이 인간의 생명도 끝이 없는 원과 같이 언제이고 돌고 있어야 한다고 믿고 있음을 뜻한다.
이들이 가장 깊은 슬픔에 잠기는 것은 일주일 동안이다. 그 뒤의 한달동안은 추모 기간이 있지만, 이 기일에는 일주일이 슬픔과는 같지 않다. 뒤의 1년 동안도 역시 슬픔이 덜한 기간이다.
죽은 뒤 1년 후부터는 기일을 빼고는 상복을 입지 않는다. 1년 동안 상복을 입어 추모하는 대상은 부모의 경우일 뿐이고 다른 사람의 경우엔 1일주일과 1개월에 추모의 기간이 끝난다.
나의 아버지가 죽었을 때도 나는 슬픔에 싸여 식사마저 할 수 없었다. 하지만 달걀을 먹지 않으면 안되었다. 그것은 의무적인 일이었기 때문이다. 죽은 사람만이 현재 살아있는 사람을 지배하고 있어서는 안되며, 죽지 않고 살아 남은 사람은 앞으로도 계속 살아가야만 한다는 중요성을 유태인들은 가르치고 있다 이들에 있어 자살은 큰 죄악이다.
유태인들의 장례식은 부자와 가난한 사람에 구별이 없고, 학자와 무식한 사람을 구별하지 않고 똑같은 관과 옷을 입혀 행한다.인간들의 지위나 부위 영화에 따라 장례식이 달라지는 경우는 없다. 이들은 인간 평등을 존중하고 있기 때문이다. 예배당에서 같은 모습, 같은 모자를 쓰고 함께 모여 앉아 기도하는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이다.
|